정전기 정전기 2023. 3. 3. 정전기 없애는법, 관련 용어 및 발생 메카니즘 겨울철 정전기가 심하게 되며, 산업에서는 정전기 때문에 큰 피해를 입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정전기 관련 용어도 알아보고 없애는 법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정전기 란? 물체(주로 부도체)에 전하(양전하.음전하) 가 축적되어 있는(대전:帶電) 상태를 이야기합니다. 가장 쉽게 만드는 방법은 머리빗으로 빗거나 책받침 같은 것으로 문지르면 전정기가 발생합니다. 어릴 쩍 과학 시간에 많이 했던 방법입니다. 밤에 물을 끄고 하면 불꽃이 튀기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때 발생하는 전압은 1만 볼트를 넘고, 순간 전류는 수 A에 달하지만 실제로 전기가 흐르는 건 매우 짧은 시간 (0.000002초)이므로 사람이 부상을 입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정전기 발생 메커니즘 정전기는 물체 위의 양이나 음 전하의 불균형에.. 정전기 2023. 1. 12. 정전기 이물질 제거 이온 아이저 (Ionizer) 원리 및 측정 최근 회사에서 정전기에 의한 이물질을 제품에서 제거하기 위해 이온 아이저 (Ionizer)를 설치를 하였습니다. 이온 아이저 (Ionizer)의 원리, 정전기 발생 및 측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온 아이저 (Ionizer) 원리 이온 아이저 (Ionizer)에서 음이온과 양이온을 발생시켜, 플러스로 대전된 물체에는 마이너스가 마이너스로 대전된 물체에는 플러스 이온이 부딪혀 중화를 시킵니다. 물체들은 전기적으로 중성이 되어 정전기 효과가 없어지게 됩니다. 정전기 효과가 없어지면 끓어 당김이나 불꽃과 같은 현상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정전기 발생 원인 물체를 이루는 원자의 주변에는 전자가 돌고 있는데 원자핵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전자들은 마찰로 인해 다른 물체로 쉽게 이동합니다. 전위차 발생에 의해.. 이전 1 다음